명절(추석, 설날) 차례상 준비는 바쁜 일상인들에게는 부담스럽지 않으면서, 정성을 담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차례상 준비에 대해 알아보고 계신다면 너무 복잡하지 않게 준비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간소화된 명절 차례상 준비 방법과 차례 지내는 법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1. 명절(추석, 설날) 차례상 음식 기본 구성
크게 다섯가지 정도로 나뉩니다.
어물(생선), 육류(고기), 과일(과실류), 채소류(나물), 떡류입니다. 당연히 밥과 밥과 국도 있어야 합니다.
- 어물(생선) : 구운 생선, 도미, 갈치 등
- 육류(고기) :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소고기 산적, 육표 등(현실에 맞게 선택하여 준비)
- 과일(과실류) : 사과, 배, 감 등(홀수로 준비)
- 채소류(나물) : 시금치, 도라지, 고사리 등
- 떡류 : 송편, 백설기등
전(동그랑땡, 고기전, 동태전)과 후식(약과, 한과)은 여력이 되시면 준비하고, 간소화를 원하시면 준비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2. 명절(추석, 설) 차례상 음식배열 방법
단순히 음식을 놓는 것이 아니라 의미도 있고, 예의도 있습니다. 조상님을 향한 정성을 표현합니다.
기본 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네 번째 열(신위 앞) : 밥, 국, 술잔
세 번째 열 : 생선, 고기 등 육류
두 번째 열 : 국, 전, 나물
첫 번째 열 : 과일, 한과, 떡 (가장 바깥쪽)
중요한 것은 정성스럽게 준비한 음식을 올리는 마음입니다. 음식 배열에 너무 얽매이지 않고 간소하게 차려도 무방합니다.
3. 차례순서
차례 지내는 순서는 정해진 절차가 있지만, 요즘은 많이 간소화하는 것이 트랜드입니다. 그냥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강신: 조상님을 모시는 과정으로, 술잔을 올리며 예를 갖춥니다.
2) 헌작: 준비한 술을 한 잔 올리고, 술을 3번 나눠 따라 올립니다.
3) 진설: 차례상에 준비한 음식을 올립니다.
4) 작헌례: 술잔을 다시 올리고, 음복(조상님께 드린 음식을 나눠 먹음) 준비를 합니다.
5) 철상: 음식을 내려놓고, 차례가 끝난 후 가족들과 함께 음식을 나누어 먹습니다.
4. 지방 쓰는 방법
지방은 제사 시 조상의 신위를 대신하는 종이로, 전통적 규격과 문법을 따릅니다, 하지만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온라인에서 간단히 확인 후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5. 차례상 준비 참고사항
명절(추석, 설)에는 차례음식 재료의 가격이 시장과 마트 가격이 많이 차이날 수 있으니 비교한 후에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나물류나 전은 전날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일날 준비하면 많이 분주하여 몸과 마음이 지칠 수 있습니다.
차례는 조상을 기리는 의식이라기 보다는 온 가족이 모여 함께 시간을 같이 한다는 것에 더 큰 의미가 있습니다.
차례를 통해 가족과 정을 나누고, 서로의 안부를 묻는 따뜻한 시간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영용품의 종류와 보관하는 방법 (0) | 2025.07.08 |
---|---|
모기퇴치기, 잘 못 사면 효과 없다! 스마트기기 3종 (0) | 2025.07.08 |
캠핑용 휴대 선풍기 추천! 꼭 알아야 할 사항 (0) | 2025.07.07 |
민생회복 소비쿠폰.. 언제, 어떻게 받을 수 있나 (0) | 2025.07.06 |
민생회복지원금 기대 효과, 대통령 기자회견 (0) | 2025.07.04 |
복날 가정식 삼계탕 재료 준비와 레시피 (1) | 2025.07.03 |
피크닉 도시락 메뉴 (0) | 2025.03.18 |
국제 강아지의 날 간식 (0) | 2025.03.15 |